본문 바로가기

커먼즈 운동

보웬스, 안드레아스 베버의 ‘살림’ 테제에 대한 비판

* 아래는 P2P 재단의 블로그에 실린 미셸 보웬스(Michel Bauwens)의 글 “A critique of Andreas Weber’s Enlivenment thesis as reverse social darwinism”를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이 블로그의 글들은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Share Alike 3.0 Unported License를 따른다.

=====

 

 

전도된 사회적 다윈주의로서 안드레아스 베버의 살림[각주:1] 테제에 대한 비판

 

 

옮긴이 : 민서

 

우리는 안드레아스 베버의 뛰어나고 재미있는 글 살림: 자연, 문화, 정치 개념들의 근본적인 전환을 위하여(“Enlivenment: Towards a Fundamental Shift in the Concepts of Nature, Culture and Politics,” Heinrich Boell Foundation, 2012)를 다음 게시글로 재출판할 것이다.

 

나는 위 텍스트의 내용에서 별 문제를 느끼지 못하며, 우리는 인간과 자연 사물들의 주체적인 측면을 인정하고 세상에 관한 우리의 사유와 느낌-사유에서 생명 및 의식과 다시 연결될 필요가 있다는 그 책의 취지에 충분히 동의한다.

 

하지만 안드레아스 베버는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 그가 커먼즈의 부(The Wealth of the Commons)에 기고한 글, 특히 낭비의 경제: 커먼즈의 생물학(“The Economy of Wastefulness: The Biology of the Commons”)이 그 증거이다.


예를 들어 그는 이렇게 주장한다.

 

수십억 년 동안 성공적으로 운영되어온, 모든 것을 포괄하는 커먼즈 경제 즉 생물권(biosphere)이 있다. ···나는 자연이 탁월한 커먼즈 패러다임을 구현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싶다. 이렇게 말할 때 내가 의미하는 것이, 압도적일 만큼 오랜 시간동안 인간과 인간 이외의 존재들이 커먼즈 원칙에 따라 함께 살아왔다는 것만은 아니다. 나의 주장은 한층 더 복잡하다. 나는 자연 내부에서의 생태학적인 관계들도 커먼즈의 규칙을 따른다고 확신한다.

 

자연과정을 경제 관점에서 규정하는 것이 이미 문제이지만, 어떻게 경제학을 정의하는지에 따라 나는 그 규정을 받아들일 수 있다.

 

하지만 커먼즈 경제라고 하는 것은 위험한 확장인 것 같다. 오스트롬 학파와 그 이후 커먼즈 운동은 커먼즈를 항상 그 사용자들에 의해 관리되는 공유재(a common pool resource)로 정의했다. 그리고 이 정의는 그 거버넌스의 민주적인 성격(그것이 아무리 넓게 정의되더라도)을 강조한다. (공유 자원의 독재적 관리는 사실상 사용자들을 수탈할 것이다.) 관리되지 않는 오픈 액세스 자원들은 커먼즈로 여겨지지 않는다. 따라서 자연생물권에 그러한 거버넌스 과정이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지나치게 대담한 가설이며 자연 속의 사용자들이 실제로 그런 민주적인 협력을 어떻게 하는지 살펴보는 것도 불가능하다. 나는 만물의 국회가 있기를 바라지만 그 증거가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이 글에서 베버는 우리의 자연관이 빅토리아 영국의 인간관에서 유래되었다는, 바꾸어 말해서 문화의 투사(投射)라는 매우 가치 있는 주장을 한다.

 

생물학자인 찰스 다윈은 빅토리아 산업사회에 대한 관찰에서 비롯한 것이 분명한 그러한 이론 중 일부를 변경해서 자연 변화와 발전에 대한 포괄적인 이론에 적용했다. 그 여파로 생존투쟁,” “경쟁,” “성장”, “최적화같은 개념들이 암암리에 자기이해의 중심 요소가 되었다. 즉 사회는 생물학적과학기술적사회적 진보가 개인 이기심의 총합에 의해 생겨난다고 보게 된 것이다. 계속되는 경쟁에서 환경에 적합한 종들(강력한 기업들)은 틈새(시장)를 개척하고 그들의 생존율(수익)을 증가시키는 데 반하여 약한(덜 효율적인) 종들은 멸종한다(파산한다). 하지만 그로부터 나오는, 경제와 자연의 형이상학은 세상에 대한 객관적인 설명이기보다 사회가 자신의 고유한 전제들에 관해 가지는 견해이다. ······우리는 생물학과 경제학의 이런 연합을 경제에 기반을 둔 자연 이데올로기라고 부를 수 있다.

 

그런 다음에 이 이데올로기가 다시 사회가 어떻게 존재해야 하는지에 대한 경제적문화적 관점에 영감을 준다는 것이다. 나는 이런 베버의 판단에 충분히 동의한다.

 

안드레아스 베버는 우리의 사회 조직의 성격에 대하여 이런 결론들을 도출한다.

 

경제에 기반을 둔 자연 이데올로기는 우리의 영혼으로부터 모든 황야를 배제했다. 즉 자기성취적이고 그 어떤 존재자에 의해서도 소유되지 않으며 자유주의적 정신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말이 안 되는, 종획되지 않은 자연을 배제했다. 우리 자신과 세상에 대한 이해 가운데 경쟁과 최적화라는 원칙을 넘어가는 것은 이제 그 어떤 일반적인 정당성도 주장할 수 없다. 그것은 멋진 환상일 이며, “실제로는생존투쟁에서 작동하는 심층적인 힘들에 대한 증거에 지나지 않는다. 사랑은 가장 잘 맞는 상대를 선택하는 것으로 환원된다. 그리고 협력은 기본적으로 자원경쟁에서의 전략이다.

 

하지만 이것은 자연이 실제로 작동하는 방식이 아니라고 그는 덧붙인다.

 

자연 그 자체는 커먼즈 패러다임이다. 그 패러다임에서는 독점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모든 것이 오픈 소스이다. 유기체 영역의 본질은 이기적 유전자가 아니라 모든 것에 열려있는 유전 정보의 소스코드이다. ···죽음에 이른 모든 개체는, 햇빛이라는 선물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받아들였던 것과 같은 방식으로, 다른 개체들이 맛있게 즐길 수 있는 선물로서 자신을 내놓는다.

(······)

생태계 커먼즈에서 수많은 별개의 개체들과 서로 다른 종들은 서로 다양한 관계경쟁과 협동, 협력과 포식(捕食), 생산성과 파괴를 맺고 있다. 하지만 이 모든 관계들은 한 가지 상위법을 따른다.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전체 생태계의 생산성을 촉진하는 행위가 바로 그것이다.

 

그리고 그는 결론에서 이렇게 말한다.

 

용어로서 커먼즈는 자연의 세계와 인간의 사회적·문화적 세계를 묶어주는 요소를 나타낸다. 자연을 그 진정한 질의 측면에서 커먼즈로 이해하는 것은 우리가 우리 자신을사회적 삶에서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삶에서새롭게 이해하는 길을 연다.

  자연이 실제로 커먼즈라면 자연과 생산적인 관계를 이루는 유일하게 가능한 방법은 커먼즈 경제일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한다. (···)

(······)

  따라서 커먼즈 개념은 자연과 사회/문화 사이에 있다고 상정되는 대립관계를 해소하는 통합 원칙을 제시한다. 그것은 생태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의 분할을 없앤다.

 

나의 이의제기는, 이 설명에는 빠진 것이 있다는 점, 그리고 전도된 생물학적 결정론은 커다란 위험을 안고 있다는 점이다.

 

사실 이 설명에는 창발(emergence)이 빠져있다. 즉 복잡성(complexity)을 가진 새로운 층들이 새로운 실재와 가능성을 창출한다는 일반적인 생각이 빠져있다. (생명)은 물질에 새로운 규칙을 가져오고, 의식도 물질에 새로운 규칙을 가져오며 인간 문화 또한 그렇게 한다. 각각의 창발적인 층은 비록 그 층보다 앞서는 어떤 층에 함입되어 있고 그 선행하는 층의 제약을 받아야만 할지라도, 혁신과 새로운 자유’(예컨대 동물은 자신의 의지로 이동할 수 있지만 식물은 이동할 수 없다)를 가져오기도 한다.

 

이것이 나에게 의미하는 바는 인간문화와 그 선택들은 자연법칙에서 파생될 수 없다는 것이다. 인간이 자연이고 자연적인 것에 함입되어 있을지라도 이런 상황에서 인간은 의도대로 할 수 있는 자유를 어느 정도 가질 수 있다. 우리는 자연을 관찰할 수 있지만 우리가 자연 전체를 받아들일 필요는 없다. 안드레아스 스스로 인정하듯이 자연은 경쟁과 협동이고 협력과 포식이다. 인간사회는 이런 충동들을 어떻게 관리할지를 결정해야 하며 또한 결정할 수 있다. 베버가 커먼즈로 보는 자연 속의 포식관계가 인간의 법이 될 필요는 없다. 우리는 우리의 충동을 알고 인식해야 하지만 우리는 사회적으로 충동을 조절한다. 인간의 영역 외부에서 자연을 의식적으로 조절할 수는 없다. 커먼즈는 자연법칙이 아니다. 커먼즈는 인간의 법이다. 커먼즈는 사회와 자원이 여러 선택들 사이에서 어떻게 관리될 수 있는지에 대해 인간이 가지는 비전이다. 자연에는 소유(재산) 개념이 없지만 인간에게는 소유(재산) 개념이 있다. 따라서 우리는 언제 그리고 어떻게 그 개념을 적용할지를 선택해야 한다. 자연이 우리에게 이것을 말해주리라고 단순하게 말할 수는 없다. 만약 자연이 우리에게 포식이 길이라고 말한다면 우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예를 들어, 약탈적인 충동을 관리하고 승화시켜 받아들일 수 있는 방식으로 사회 속에 함입시킬 수 있는 만큼은아니라고 말할 수 있다! ‘자연은 커먼즈다라고 말하는 것은 전도된 자연주의, 즉 반()다윈주의이다. 안드레아스 베버 입장의 치명적인 약점이 바로 이것이다. 베버는 사회적 다윈주의를 정확하게 비판하지만 한편으로는 최근에 인간이 발견한 것, 즉 자연 또한 협동체계라는 것과 우리가 자원을 커먼즈로서, ‘자연의 특성으로서 조직할 수 있다는 것을 자연에 투사한 다음 하하, 자연은 커먼즈다, 그래서 인간사회는 커먼즈임에 틀림없다라고 결론 내린다. 사실 자연과 사회 둘 다 다양하고 우리는 자연과 우리 자신을 관찰하고 알아야 하며, 우리가 할 수 있다면 우리 자신을 조직하는 방법에 관하여 민주적인 결정을 내려야한다. 이것은 계몽의 기획이었고 안드레아스 베버가 진술하듯이 일면적이었으며 어두운 면도 가지고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살림은 필요한 보완요소이다. 하지만 전도된 투사 메커니즘을 실행하는 살림은 그런 요소가 아니다.

 

우리의 살림은 자연의 이상화, 자연 신비주의, 인간 중심적 투사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그래서 안드레아스에게 미안하지만 자연은 그 자체로커먼즈가 아니며 오직 인간만이 민주적인 거버넌스를 도입할 수 있다.


  1. [옮긴이] ‘enlivenment’에 대한 설명은 「‘살림’의 과학과 커먼즈」 (http://minamjah.tistory.com/86)참조. [본문으로]

'커먼즈 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픈 액세스의 개척자 PLOS  (0) 2017.10.21
탈자본주의적 기업가활동  (0) 2017.10.18
커먼즈의 역사와 진화  (0) 2017.09.30
Equipotentiality  (0) 2017.09.29
화폐창출의 공적 통제력 되찾기  (0) 2017.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