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

노동의 관점과 텍톨로지 -- 알렉산드르 보그다노프 03 노동의 관점과 텍톨로지 -- 알렉산드르 보그다노프 03 변증법적 유물론에서 텍톨로지로 보그다노프는 전쟁에서 군의관으로 복무했다. 이 경험은 그에게 그의 시대에 군대가 얼마나 조야한 형태의 조직이었는지를 가르쳐주었다. 보그다노프 : "세계 대전은 조직화를 가르쳐주는 가장 큰 학교로 판명되었다." 그는 『경험일원론』을 1905년 혁명 전후에 썼는데, 그의 두 번쩨 일련의 연구들인 텍톨로지 연구는 1913년에 시작되어 전쟁과 1917년 혁명에서 거대한 추동력을 받았다. 『살아있는 경험의 철학』(1913)에서 그의 이전의 연구들을 종합했듯이, 텍톨로지 연구들도 Essays in Tektology(1921)로 종합되었다. 전자는 다가올 혁명을 위한 철학적 프로그램이고 후자는 일어난 혁명을 위한 조직 프로그램이다... 더보기
노동의 관점과 텍톨로지--알렉산드르 보그다노프 02 맑스에서 프롤레트쿨트로 10월 혁명 이후 프롤레트쿨트는 보그다노프의 오래된 친구인 루나찰스키가 위원장으로 있는 교육인민위원회와 불편한 관계에 있었다. 위원회는 옛 차르 국가의 문화 및 교육 활동을 이어받았다. 반면에 프롤레트쿨트는 프롤레타리아 특유의 활동에 관심이 있었다. 루나찰스키가 프롤레트쿨트에 반감을 가진 것은 아니지만 위원회의 지원은 부분적일 수밖에 없었다. 위원회의 과제는 문자해득력을 늘리는 것이었다. 볼셰비키 지도부 가운데 부하린만이 프롤레트쿨트를 지지했다. 레닌은 확실히 아니었다. 프롤레트쿨트는 예산을 교육위원회로부터, 즉 볼셰비키가 통제하는 국가로부터 나왔으므로 자율적인 프롤레타리아 문화에 대한 욕망은 온전하게 실현될 수 없었다. 그러나 한동안 상당한 열광을 불러일으켰으며 열광자들 가운데에.. 더보기
노동의 관점과 텍톨로지--알렉산드르 보그다노프 01 * 아래는 McKenzie Wark의 Molecular Red : Theory for the Anthropocene (2015)의 1부 "Alexander Bogdanov: Workings of the World"의 전반부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나머지 후반부도 곧 올릴 예정입니다. ==================== 1부 노동과 자연1장 Alexander Bogdanov: Workings of the World 레닌의 경쟁자 보그다노프와 레닌이 체스를 두고 있고 고리키가 바라보고 있는 사진이 있다. 1908년도에 레닌이 고리키를 방문했고 마침 보그다노프가 손님으로 와있었다. 보그다노프가 이겼다. 레닌은 소탈한 사람은 아니었다. 고리키가 레닌과 보그다노프를 화해시키려 했으나 잘 되지 않았다. 고리키는.. 더보기
들뢰즈, 인간과 초인간의 죽음에 대하여 들뢰즈의 『푸코』(Foucault) 부록 「인간과 초인간의 죽음에 대하여󰡕 sur la mort de l'homme et le surhomme 더보기
네그리, 스피노자--정동의 사회학 Antonio Negri 우리 시대의 스피노자 Spinoza for Our Time: Politics and Postmodernity Columbia University Press. Translated by William McCuaig 4장 Spinoza: A Sociology of Affects 내용 정리 더보기
푸꼬, 칸트에서 계몽과 자기의 통치(2) 제2강 (1983년 1월 5일 2교시) 여기서 푸꼬는 칸트의 계몽과 관련된 텍스트를 상세하게 독해하는 시간을 가진다. 푸꼬는 우선 칸트의 텍스트의 첫 단락을 그대로 인용한다. 여기서 계몽의 최초의 정의가 나온다. “계몽이란 무엇인가? 인간이 스스로 초래한 미숙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다.” 여기서 미숙이란 다른 사람의 지도 없이는 자신의 지성(Verstand)을 사용하지 못하는 무능력을 말한다. 왜 스스로 초래한 것이냐 하면, 그 원인이 지성의 부족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지도 없이 지성을 사용할 결단력과 용기의 결여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Sapere aude!(과감하게 알라)가 계몽의 모토이다. 위 계몽의 정의에서 마주치는 첫 단어는 ‘Ausgang’(벗어남, 풀려남, 탈출, release, emergenc.. 더보기
푸꼬, 칸트에서 계몽과 자기의 통치(1) * 다음은 미셸 푸꼬의 The Government of the Self and Others : Lectures at the College De France 1982-1983의 제1강의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이 책의 1강과 2강은 칸트의 「계몽이란 무엇인가?」 및 그 후속 작업이 가지는 철학적 의미를 상세히 분석해내고 있다. 제1강 (1983년 1월 5일 1교시) 푸꼬는 두 개의 “전적으로 정당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① 정신의 역사(the history of mentalities)―실제 행동 형태들과 그것들에 동반되는 가능한 표현들의 분석② 재현의 역사(history of representations)―① 이데올로기의 분석 ② 지식의 내용의 진실성의 분석.그리고 자신은 이와는 다른 방법론을 따른다고 한.. 더보기
존재론의 정치학 ― 인류학의 입장들 * 아래는 오픈 액세스 저널인 Cultural Anthropology에 2014년 1월 13일자로 실린 Martin Holbraad, Morten Axel Pedersen and Eduardo Viveiros de Castro, “The Politics of Ontology: Anthropological Positions”를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이 논문은 말의 세밀한 뉘앙스의 차이까지도 주요한 표현의 요소로 삼기 때문에 인류학 분야의 논의의 맥락을 잘 모르는 사람으로서는 우리말로 옮기기가 상당히 까다로우며 따라서 번역상의 오류나 미흡함이 충분히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존재론의 정치학 ― 인류학의 입장들 홀브라드, 페더슨, 데 카스트루 처음 보기에 ‘존재론’과 ‘정치학’은 희한한 짝인 듯 다가온다. .. 더보기
네그리의 정치철학 * 아래 글은 2013년 4월 19일 의 강좌 '현대 철학 특 7강' 중 2강의 강의안입니다. 완결된 글이 아니며 강의에서 직접 설명하는 부분은 강의안 자체에는 설명이 빠져 있습니다. 더보기
Commonwealth에서 칸트와 관련된 부분 Commonwealth에서 칸트와 관련된 부분 서문 ▣ 가난, 사랑, 지적 힘 가난과 사랑을 활성화시키는 것은 지적 힘이다. 예를 들어서 칸트는 계몽을 철학의 죽음을 낳는 “광신적인 비전들”을 몰아낼 수 있으며 더욱이 사유의 모든 단속을 이겨낼 수 있는 힘의 관점에서 파악하였다.(Immanuel Kant, for example, conceives of Enlightenment in terms of a force that can banish the “fanatical visions” that result in the death of philosophy and, moreover, can win out over every policing of thought.) 데리다는 “계몽된” 칸트를 따라서 이성을 회의하는.. 더보기